티스토리 뷰
Programmers의 코딩 기초 트레이닝을 풀면서 Python 공부를 하고 있다.
리스트가 많이 나오고 리스트 연산에 대해 헷갈리는 부분이 많아 한 번 정리하려고 한다.
- insert()
- insert(a, b) : 리스트의 a번 째 위치에 b를 삽입
- a번 째 위치에 삽입되면서 한 칸씩 뒤로 밀린다.
- remove()
- remove(a)를 실행 시,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a를 삭제한다.
- 리스트에 동일한 a가 여러 개 있다면, 가장 첫 번째로 나오는 a만 삭제
- pop()
- 리스트의 맨 마지막 원소를 리턴하고 해당 원소는 삭제한다.
- pop(i)는 리스트이 i 번 째 원소를 리턴하고 삭제한다.
- reverse()
-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는 연산
- 현재 리스트를 있는 그대로 뒤집는 연산
- sort()
- 리스트의 원소들을 오름차순 순서대로 정렬
- 문자 역시 알파벳 순서로 정렬
- index()
- index(a)는 리스트에 a 값이 있다면, a의 위치(index) 값을 리턴
-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값을 찾으려고 하면, 값 오류(ValueError) 발생
- count()
- count(a)는 리스트 안에 "a"라는 원소가 몇 개 있는지 리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