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슬라이싱을 이용하면 되는 문제이다! 하지만 뒤집는 부분의 슬라이싱이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. def solution(my_string, s, e): answer = my_string[:s] + my_string[s:e+1][::-1] + my_string[e+1:] return answer 저 가운데에 있는 my_string[s : e+1][ : : -1]이 이해가 되지 않았다. 우선은 이해하지 말고 알아두자! 그리고 궁금해서 gpt한테 물어보니 알려준 코드는 def solution(my_string, s, e): answer = my_string[:s] + my_string[e:s-1:-1] + my_string[e+1:] return answer 제출 해보니 실패가 2개가 떴다.. 생각해도 몰라서 친..

이걸 계속 봐도 도저히 어떤 식으로 풀어야 할지 몰라서 친구의 도움을 받았다. 0을 52개 만들고 my_string에서 해당 글자가 나오면 바로바로 1을 더하면 위치와 개수가 맞는다. 대문자면 앞에 26개, 소문자면 뒤에 26개에 해당한다. 개수는 나올 때마다 1을 더하면 개수는 해결되고, 위치는 유니코드를 이용했다. def solution(my_string): answer = [0]*52 for i in range(len(my_string)): if my_string[i].isupper(): answer[ord(my_string[i])-ord("A")] += 1 elif my_string[i].islower(): answer[ord(my_string[i])-ord("a")+26] += 1 return ..

조건 주어진대로 코드를 작성하고 Run Test를 했는데 성공해서 제출을 하니 그건 또 실패가 엄청 많았다... 뭐가 문제인지 모르고 다른 사람과 비교를 해보며 다른 부분 또는 함수를 찾고 검색을 해보았다. 하나를 바꾸니 바로 성공했다... 바로 remove()와 pop() 이었다. 코드를 작성할 때 나의 생각은 마지막 원소를 지우면 되니까 remove()로 마지막 원소를 지우면 되지 않을까? 했는데 그게 아니였다.. 우선 코드를 보자! def solution(arr): answer = [] i = 0 while i < len(arr): if not answer: answer.append(arr[i]) i += 1 elif answer[-1] == arr[i]: answer.remove(answer[-1..

문제를 보자마자 먼저 나오는 문자열?? 이거 break 써야겠다라는 생각을 했다. 순서대로 담는 것은 슬라이싱을 해야하고 하나씩 answer 리스트에 추가하는 방법은 아직은 모르겠다 ㅠㅠ 하나씩 추가하는 방법이 더 복잡한 것 같기도하고... def solution(str_list): answer = [] for i in range(len(str_list)): #str_list의 길이만큼 반복문! if str_list[i] == "l": #str_list의 인덱스 값이 "l"이면 answer = str_list[:i] #str_list 처음부터 l 전까지의 값만 출력 break #먼저 나오는 "l"에서만 적용하기 위해!! elif str_list[i] == "r": #str_list의 인덱스 값이 "r"이..

어떻게 해야할지 아예 생각을 못했다... def solution(myStr): answer = [] result = [] answer = myStr.replace("b","a").replace("c","a").split('a') #b를 a로, c를 a로 바꾸고 a로 구분해라 for i in answer: if i: #i에 무언가 있으면 true result += [i] #result에 i를 추가한다. if result == []: #result가 비어있으면 result = ["EMPTY"] #["EMPTY"]를 출력하라 return result 내가 아는 게 For, While, If 밖에 모르지만 다 할 수 있겠지??ㅠㅠㅠ너무 모르네 진짜 ㅠㅠㅠ 공부해보자!!! 다른 사람은 어떻게 풀었나 봐보자!! d..

∨이게 or 이고 ∧이게 and이더라..정해진 건가? 아니면 진리표를 보고 아는 것인가? 이 표를 보고 or 인지 and 인지 아는 것 같다. 애초에 or 인지 and 인지도 모르고 ∨, ∧ 기호를 사용했는데 이렇게 하면 안되더라 ㅋㅋㅋㅋㅋ 진리표 대로 일일이 변수를 설정하고 문제를 대입했다.... def solution(x1, x2, x3, x4): answer = True True or True == True#여기서 부터~~ True and True == True True or False == True True and False == False False or True == True False and True == False False or False == False False and False ==..